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가입 조건이 여러 차례 완화된 것 같더라고요. 5년 만기 상품이라 만기가 너무 긴 것 아니냐?라는 비판도 있었지만 벌써 100만명이 넘는 청년들이 가입했다고 하네요.
100만명 중에 얼마나 중도 해약을 하지 않고 만기까지 가져갈지 모르지만 그래도 정부에서 밀어주는 청년전용 금융상품이니만큼 여건이 된다면 가입하는 것이 다른 적금보다는 좋을 듯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과 이자, 만기 금액 등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한도
- 청년도약계좌 신청
- 이자 및 만기 금액
1.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및 한도
예전에 비해서 조건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지만, 가구 중위소득이 180%에서 250%로 대폭 상향조정 되었습니다. 가구 중위소득이 250% 이하로 기준이 설정될 경우 가구 중위소득 때문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을 못하는 경우는 거의 안 생길 듯합니다.
가구원 수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32% | 713,102 | 1,178,435 | 1,508,690 | 1,833,572 | 2,142,635 | 2,437,878 |
50% | 1,114,222 | 1,841,305 | 2,357,328 | 2,864,956 | 3,347,867 | 3,809,184 |
60% | 1,337,066 | 2,209,566 | 2,828,794 | 3,437,948 | 4,017,441 | 4,571,021 |
100% | 2,228,444 | 3,682,609 | 4,714,656 | 5,729,913 | 6,695,734 | 7,618,369 |
120% | 2,674,133 | 4,419,131 | 5,657,588 | 6,875,895 | 8,034,881 | 9,142,043 |
150% | 3,342,666 | 5,523,914 | 7,071,984 | 8,594,869 | 10,043,602 | 11,427,553 |
180% | 4,011,199 | 6,628,697 | 8,486,381 | 10,313,843 | 12,052,322 | 13,713,064 |
1인 가구 기준으로 중위소득 100%가 약 222만원인데요.250%면 1달에 세전 월급기준으로 557만원 정도입니다. 이 정도 기준이면 웬만한 청년들은 모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소득 | 본인 납입한도(월) |
기여금 한도(월) | ||
총급여 기준 | 종합소득 기준 | |||
2,400만원 이하 | 1,600만원 이하 | 70만원 이내 |
24,000원 | 기여금 지급한도(월) 40만원의 6.0% |
3,600만원 이하 | 2,600만원 이하 | 23,000원 | 기여금 지급한도(월) 50만원의4.6% | |
4,800만원 이하 | 3,600만원 이하 | 22,000원 | 기여금 지급한도(월) 60만원의3.7% | |
6,000만원 이하 | 4,800만원 이하 | 21,000원 | 기여금 지급한도(월) 70만원의3.0% | |
7,500만원 이하 | 6,300만원 이하 | 기여금 없음 |
청년도약계좌의 납입한도는 월 70만 원이며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기여금은 조금씩이나마 높아지는데요. 총 급여 2,400만원은 1달에 40만원씩 넣을 경우 6%에 해당하는 2.4만원을 추가적으로 지원받게 됩니다.
그리고 총 급여 6,000만 원 이하의 경우 70만원의 3%에 해당하는 3.1만원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총급여 6,000만원 초과 7,500만원 이하의 경우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되지만 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없다는 점도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2.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매월 초 신청기간이 존재합니다. 이때 타이밍을 맞춰서 신청해 주셔야 하며, 가입하고자 하는 은행 어플을 통해서 손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신청 이후에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조건에 대한 심사를 하고, 결격사유가 없을 경우 다음 달 초에 계좌 개설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2022년 3월에 가입한 청년희망적금이 2024년 3월에 만기가 된 경우 4월 30일까지 '일시납입'을 신청하셔야 합니다. 만기금액 약 1,300만원 정도이고, 청년도약계좌에 환승할 때는 40, 50, 60, 70만원 중 일시납입할 금액과 얼마큼 일시납입할지에 대한 기간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이자 및 만기금액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기본적으로 3년 고정에 2년 변동입니다. 은행마다 대체로 3년 고정금리는 4.5% 정도이며, 우대금리 조건에 따라 은행을 선택한 뒤 가입하시면 됩니다. 좀 더 자세한 이자 조건은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납입원금은 4,200만원에 기여금, 이자까지 합쳐서 약 821만 원의 수익금이 발생합니다. 그렇게 약 5,001만원을 수령할 수 있네요.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